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서귀포 매일올레시장 이용객 실태조사

    연구책임 : 이성용|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8-11-30 |조회수 : 1018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2
    3. 연구의 방법 3
    1) 주요내용 3
    2) 연구의 흐름도 4

    Ⅱ. 이론적 고찰 및 국내외 사례조사 5
    1. 전통시장의 정의 5
    2. 전통시장의 역사 6
    1) 삼국시대 이전 시장 6
    2) 고려시대 이전 시장 6
    3) 조선시대 시장 7
    4) 일제시대 시장 8
    3. 전통시장 관련 연구 10
    4. 서귀포시 지역현황 13
    1) 문화 관광 현황 13
    2) 전통시장 현황 19
    3) 매일올레시장 현황 20
    4) 신활력 거점공간 조성을 통한 서귀포시 원도심 활성화 사업 26
    5) 제주올레6코스 이용객 현황 27

    Ⅲ. 이용객 의식조사 29
    1. 개요 29
    2. 이용객 의식조사 분석주요내용 33
    3. 서귀포매일올레시장에 대한 일반적 질문 35
    4. 서귀포매일올레시장 이미지 및 재방문에 관한 질문 41
    1) 매일올레시장의 전반적인 이미지 41
    2) 매일올레시장 만족도 79
    3) 매일올레시장 재방문 85
    4) 매일올레시장 주차시설 관련 질문 93
    5. 매일올레시장 인터뷰 조사 99

    Ⅳ. 매일올레시장 활성화 방안 104
    1. 국내외 선진 사례 104
    1) 국외 사례 104
    2) 국내 사례 112
    3) 국내외 사례조사 시사점 114
    2. 여건 분석 115
    3. 매일올레시장 상권 활성화 방안 121
    1) 기본방향 121
    2) 주요전략 122

    Ⅴ. 결 론 129
    1. 마무리 129
    2. 정책제언 130


    참고문헌 132
    <부록> 서귀포매일올레시장 활성화 방안 설문조사지 134
    Abstract 139
  • 제주특별자치도 농림수산식품투자조합 결성 및 운용 방안

    연구책임 : 안경아|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8-11-30 |조회수 : 710

    목 차


    I.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기존 연구 검토 2
    3. 연구단계 4

    Ⅱ. 농식품모태펀드 정책 개요 6
    1. 농식품모태펀드 운용 구조 6
    2. 농식품투자조합 결성 및 투자 현황 9
    3. 농식품 경영체의 피투자 사례 15

    Ⅲ. 제주 농식품 사업체 성장성 분석 35
    1. 농식품산업 범위 설정 35
    2. 농식품산업 특화도 분석 38
    3. 농식품 사업체 성장성 분석 41

    Ⅵ. 제주 농식품투자조합 결성 및 운용 방안 75
    1. 농식품 지역특성화펀드 도입 필요성 75
    2. 농식품투자조합 결성 방안 76
    3. 농식품투자조합 운용 방안 79

    Ⅵ. 요약 및 결론 84

    [부록] 농식품모태펀드 지역특성화펀드 출자사업 공고 87

    참고문헌 91
    Abstract 92

  • 중국 해양경제도시 특성 분석 및 제주지역 교류협력 방안

    연구책임 : 정지형|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8-11-30 |조회수 : 832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 방법 4
    4. 연구 범위 5

    Ⅱ. 중국 해양경제권역 추진동향 6
    1. 해양경제권역 추진 배경 및 현황 6
    1) 중앙정부 해양경제권역 추진 정책 6
    2) 지역별 해양 정책 요점 9

    Ⅲ. 중국 해양경제특별구 경제역량 28
    1. 분석 개요 28
    1) 연구 범위 28
    2) 연구 방법 28
    2. 주요 지역별 경제역량 현황 및 비교 29
    1) 중국 해양경제 현황 29
    2) 중국 해양경제특별구역 경제현황 및 비교 36
    (1) 해양경제권 성급지역 경제역량 분석 38
    (2) 해양경제벨트도시 경제역량 비교분석 57
    (3) 해양경제도시 특화산업 LQ분석 77

    Ⅳ. 정책제언 95




    Ⅴ. 결 론 105

    ■ 참고문헌 106

    ABSTRACT 108
  • 제주지역 마을공동어항 특화 및 관리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엄상근|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8-11-30 |조회수 : 972

    목 차

    제1장 연구개요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제2장 어항의 제도적 검토 5
    1. 법적 검토 5
    2. 어항 관련 계획 10
    3. 선행연구 22

    제3장 제주지역 마을공동어항 현황 분석 24
    1. 전국 어항 현황 24
    2. 마을공동어항 현황조사 34
    1) 조사 계획 34
    2) 조사 결과 35

    제4장 국내외 소규모 어항 우수사례 조사 64
    1. 국내 사례 64
    2. 국외 사례 73
    3. 국내외 사례 시사점 79

    제5장 제주지역 마을공동어항의 관리 방안 85
    1. 마을공동어항 종합 분석 85
    1) 조사 방법 85
    2) 조사 결과 86
    2. 마을공동어항 관리 방안 89
    1) 기본 방향 89
    2) 어항 정비 방향 및 유형 89

    참고문헌 102
  • 한중 FTA발효 이후 제주지역 대중국 무역구조 변화와 대응방안

    연구책임 : 이중화|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8-11-30 |조회수 : 735

    목 차

    I. 개요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구조 2


    II. 대중국 무역 현황과 경쟁력 분석 4
    1. 수출입 현황 4
    1) 수출 부문 4
    2) 수입 부문 7
    3) 무역수지 부문 10
    2. 주요 품목별 대중국 수출입 현황 11
    1) 수출 부문 11
    2) 수입 부문 12
    3. 무역경쟁력 분석 14
    1) 분석 방법 14
    2) 분석 결과 17


    III. 대중국 수출입 규모 전망과 FTA효과 분석 28
    1. 수출입 규모 전망 28
    2. 한중 FTA 효과 분석 34
    3. 관세인하 효과 분석 38
    1) 분석 방법 38
    2) 분석 결과 40



    IV. 대중국 무역 활성화 방안 45
    1. 수출 품목 다양성 제고 46
    2. 한중 FTA 양허 관세 연계 50
    3. 중국 전자상거래 관련 정책 활용 54
    4. 해외전시회 홍보 강화 58
    1) 해외전시회 현황 58
    2) 해외전시회 지원 사업 60


    V. 결론 및 제언 68


    참고문헌 72

    Abstract 77

    부록 78
  • 제주지역 경관협정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엄상근|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8-11-30 |조회수 : 925

    목 차

    제1장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제2장 경관협정제도 및 계획 5
    1. 제도적 검토 5
    2. 계획적 검토 11
    3. 선행연구 20

    제3장 경관협정 현황 분석 21
    1. 경관협정 현황 21
    2. 경관 관련 전문가 의견조사 24

    제4장 국내외 사례 조사 37
    1. 국내 사례 37
    2. 국외 사례 49
    3. 국내외 사례 종합분석 및 시사점 55

    제5장 제주지역 경관협정 활성화 방안 58
    1. 기본 방향 58
    2. 경관협정 활성화 방안 59
    1) 주민참여 활성화 59
    2) 경관관리 전문성 강화 60
    3) 경관협정 참여 방안 마련 61
    4) 경관협정 지원체계 구축 61
    5) 도시재생뉴딜과 경관협정 연계 방안 62

    참고문헌 64
    부록 1 : 전문가 의견조사 설문지 66
    부록 2 : 제주특별자치도 경관 조례 71
  • 제주지역 에너지수요모형 구축 연구

    연구책임 : 김현철|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8-11-30 |조회수 : 621

    목 차


    요 약 i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방법 1
    3. 연구범위 1
    4. 선행연구 2
    5. 주요 연구내용 2
    6. 보고서 예상 목차 3
    7. 정책적 시사점 및 활용효과 3

    Ⅱ. 지역사회 및 지역경제 특징 4
    1. 지역사회 관련 통계 4
    2. 지역경제 관련 통계 6

    Ⅲ. 에너지관련 데이터 13
    1. 전국 신·재생에너지 발전현황 13
    2. 신·재생에너지 생산 및 발전 실적 14
    3. 최종 에너지 소비량 15
    4. 부문별 에너지 소비 16
    5. 에너지원별 소비량 17

    Ⅳ. 부문별 에너지관련 회계 및 연구사례 19
    1. 부문별 에너지 소비 19
    2. 부문별 에너지 회계 20
    1) 상품회계 (Commodity Accounts)와 전반적 에너지 밸런스 (Overall Energy Balance) 20
    2) 에너지 밸런스 정보 (Energy Balance Information)분석 23
    3) 부문별 에너지 회계 25
    3. 부문별 에너지 수요 분석사례 27
    1) 산업부문 27
    2) 수송부문 31
    3) 가정·상업부문 33

    Ⅴ. 데이터 기술 및 시계열 추이 분석 34
    1. 제주형 산업생산지수 35
    2. 데이터 기술(Data Description) 36
    1) 에너지변수 36
    2) 독립변수 37
    3. 시계열 변수 추이분석 40
    1) 종속변수 40
    2) 독립변수 41
    2) 변수추이 43

    Ⅵ. 제주지역 에너지 시계열모형 추정 및 함의 51
    1. 시계열 실증모형추정 51
    1) 부문별 에너지수요 모형 51
    2) 원별 에너지수요 모형 77
    2. 추정모형정리 및 결과비교 84
    3. 함의 92

    참고문헌 96

    ABSTRACT 97
  • 제주특산품 신유통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 한승철|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8-11-30 |조회수 : 979

    목 차

    I.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2
    4. 기대효과 3

    II. 유통의 이해 및 신유통 동향 4
    1. 유통시장과 유통의 이해 4
    2. 신유통의 특성 20
    3. 국내외 신유통 플랫폼 27
    4. 신유통 플랫폼 입점 사례 67
    5. 국내외 신유통 사례의 시사점 70

    Ⅲ. 제주특산품 유통 실태 및 유통 인식조사 72
    1. 제주특산품의 개념과 특성 72
    2. 제주특산품 유통 실태 및 정책 동향 74
    3. 제주특산품 유통 인식조사 97

    Ⅳ. 제주특산품 신유통 구축 전략 모색 113
    1. 제주특산품 신유통 SWOT 분석 113
    2. 제주특산품 신유통 채널 구축 필요성 114
    3. 제주특산품 신유통 채널 구축 전략 116

    Ⅴ. 신유통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127
    1. 신유통시대의 정책 기조 127
    2. 정책적 제언 129



    참고문헌 138
    부록 1 : 인식조사 설문지 141
    부록 2 : 아이디어스 플랫폼 서비스 이용약관 146
    ABSTRACT 159
  • 제주의 지방관광세 도입에 관한 기초 연구

    연구책임 : 고철수|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8-11-30 |조회수 : 608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방법 2
    4. 연구의 한계 및 기대 효과 3

    Ⅱ. 제주 사회․경제적 현황 4
    1. 제주 사회․경제적 현황 4
    1) 관광객 추이 4
    2) 인구증가 추이 5
    3) 산업구조 5
    4) 차량 증가 추이 6
    5) 쓰레기 배출량 추이 7
    6) 재정 현황 8
    2. 시사점 10

    Ⅲ. 지방관광세의 기본 개념과 국내외 사례 소개 12
    1. 관광세 개념 및 형태 12
    1) 관광세 개념 12
    2) 관광세 특징 13
    3) 관광세 도입의 이론적 배경 14
    4) 관광세 형태 14
    2. 외국의 관광세 사례 20
    1) 일본 20
    2) 스페인 발레아레스 22
    3) 독일 24
    4) 미국 25
    5) 말레이시아 25
    6) 스위스 카지노세 & 관광진흥세 26
    3. 국내 관광세 도입 역사 및 사례 28
    1) 국내 관광세 도입 시도 역사 28
    2) 최근 제주의 ‘환경보전기여금’ 제도 도입 논쟁 31

    Ⅳ. 제주지방관광세의 도입 방안 35
    1. 기본배경 및 방향 35
    2. 지방세로서의 관광세 36
    1) 법정지방세의 독립세로 지방관광세 신설 37
    2) 법정외 지방세로 지방관광세 신설 38
    3) 지역자원시설 과세대상 확대 42
    4) 관광객에 대한 환경부담금 부과 42
    3. 제주지방관광세 도입 방안 43
    1) 제주관광환경세 43
    2) 과세 방법 46

    Ⅴ. 정책적 제언 48

    참고문헌 51
    ABSTRACT 52
  • 제주특별자치도 환경교육 평가지표 및 평가시스템 개발 연구

    연구책임 : 김태윤|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8-10-31 |조회수 : 671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목적 2
    3. 주요 연구 내용 2

    Ⅱ. 환경교육 평가지표 및 평가시스템의 개념 3
    1. 환경교육 평가지표 3
    1) 환경의 개념 3
    2) 환경 문제의 의미와 발생원인 및 발생 과정 8
    3) 환경교육의 개념 12
    4) 환경교육 프로그램 17
    5) 환경교육 평가지표의 개념과 역할 20
    2. 환경교육 평가시스템 27

    Ⅲ. 제주자치도 환경교육 지원 사업 현황 29
    1. 자연보전단체의 환경 보전 및 체험 활동 30
    2.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 31
    3. 사회 환경교육 32
    4. 위탁 또는 민간경상보조 지원 사업 34
    5. 학교 동아리 활동(환경 보전기금) 35
    6. 환경 선도학교 36

    Ⅳ. 제주지역 환경교육 평가지표 및 평가시스템 개발 38
    1. 환경교육 평가지표 38
    1) 일반론적 환경교육 평가지표 38
    2) 환경교육 사업 평가지표 41
    3) 제주지역 환경교육 지원 사업 평가지표 45
    4) 환경교육 평가지표의 정의 및 평가 방법 48
    2. 제주지역 환경교육 평가시스템 61
    1) 평가 주체 61
    2) 평가 대상 62
    3) 평가 방법 64
    4) 환경교육 평가표 75

    Ⅴ. 사례분석: 2018 제주지역 환경교육 지원 사업 평가 76
    1. 평가 대상 기관 선정 76
    2. 평가 결과 및 자체 평가서(설문지) 개선 방안 82

    Ⅵ. 정책 제언 86
    1. 제주자치도 환경교육 지원 사업성과 평가 실시 86
    1) 환경교육 지원 사업 평가의 필요성 86
    2) 제주자치도 환경교육 성과 평가지표 87
    3) 평가지표 배점 및 작성 요령 89
    2. 제주자치도 환경교육 지원 사업 평가시스템 구축 92
    1) 평가 주체 및 평가 방법 92
    2) 평가 대상 기관 93
    3. 환경교육 지원 사업 평가 공유프로그램 운영 95
    4. 환경교육 우수기관 인센티브 부여 96
    5. 환경교육 지원 사업 연차별 평가 보고서 작성 및 활용 97

    참고 문헌 99
    Abstract 101

    <부록 1> 제주자치도 환경교육 지원 사업 자체 평가서
    (환경교육 지원 사업비 5,000천 원 이상인 경우) 103
    <부록 2> 제주자치도 환경교육 지원 사업 자체 평가서
    (환경교육 지원 사업비 5,000천 원 미만인 경우) 112
    <부록 3> A기관의 자체 평가서 117
    B기관의 자체 평가서 127
    C기관의 자체 평가서 137
    D기관의 자체 평가서 148
    E기관의 자체 평가서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