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I.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기존 연구 검토 2
1) 마을공동목장 형성 및 경관 연구 2
2) 마을공동목장조합의 해체 관련 연구 2
3) 연구의 차별성 3
3. 연구과정 4
II. 마을공동목장 형성과 해체 5
1. 마을공동목장 형성 과정 5
2. 마을공동목장 해체 양상 7
III. 마을공동목장 실태조사 15
1. 조사 개요 15
1) 조사목적 15
2) 조사기간 및 대상 15
3) 조사방법 및 내용 15
2. 조사 결과 16
1) 회천공동목장 19
2) 봉개공동목장 21
3) 아라공동목장 23
4) 오등공동목장 26
5) 금당목장 28
6) 상명리공동목장 31
7) 삼리공동목장 34
8) 납읍리목장 36
9) 어음1리공동목장 39
10) 어음2리공동목장 44
11) 상가리공동목장 46
12) 소길리(맹단이)공동목장 48
13) 장전공동목장 50
14) 유수암리공동목장 53
15) 고성리목장 56
16) 광령공동목장 59
17) 광령2리답밭목장 61
18) 교래리공동목장 62
19) 조천새마을관광목장 65
20) 와흘한우영농조합 목장(삼다수목장) 67
21) 동복리공동목장 71
22) 김녕공동목장 73
23) 상덕천공동목장 75
24) 평대공동목장 77
25) 송당아부오름공동목장 79
26) 송당하동공동목장 82
27) 세화공동목장(구좌읍) 83
28) 상도리공동목장 85
29) 하도리공동목장 88
30) 청수공동목장 90
31) 산양공동목장 93
32) 도순공동목장 94
33) 하원공동목장 97
34) 회수부흥목장 100
35) 색달공동목장 102
36) 남원한남공동목장 105
37) 수망리공동목장 107
38) 의귀공동목장 110
39) 신례리공동목장 113
40) 삼달리새마을공동목장 117
41) 서광서리공동목장 121
42) 서광동리공동목장 124
43) 덕수리공동목장 126
44) 성읍1리영주공동목장 128
45) 성읍2리영농조합 목장 130
46) 가시리협업목장 132
47) 세화1ㆍ3리공동목장(표선면) 137
3. 결과 종합 144
IV. 마을공동목장 관리 개선 방안 149
1. 관리 개선 방향 149
2. 관리 개선 방안 151
1) 목축 경영체 지원 151
2) 공동체 자산신탁 제도 도입 154
3) 공동목장 경관포럼 운영 157
4) 목축문화 복원과 활용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