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Ⅰ. 연구 개요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3
2. 연구 방법 3
3. 연구 접근체계 4
Ⅱ. 제주도 빗물이용시설 및 토지이용 현황 5
1. 빗물이용시설 현황 5
2. 토지이용 및 시설하우스 현황 8
1) 토지이용 현황 8
2) 시설하우스 분포 현황 11
Ⅲ. 연구대상지역 선정 및 현장조사 13
1. 연구대상지역 선정 13
2. 연구지역 토지이용 및 시설하우스 분포 현황 14
1) 연구지역 토지이용 현황 14
2) 연구지역 시설하우스 분포 현황 15
3. 연구지역 농업용수 이용특성 17
1) 의귀지역 농업용수 이용특성 19
2) 위미지역 농업용수 이용특성 20
4. 빗물이용시설 운영 실태 조사 22
1) 시설하우스 면적과 빗물 집수 면적 22
2) 빗물이용시설의 저류시설 규모 23
3) 빗물 저류 용량을 초과하는 빗물의 처리 방법 24
Ⅳ. STORM 모델을 이용한 빗물이용시설의 이용량 평가 26
1. STORM 모델 개요 26
2. 입력자료 구축 27
3. 빗물 이용량 분석 결과 33
Ⅴ. 강수 분석 및 빗물이용시설 유출량 산정 38
1. 연도별 강수 특성 분석 39
2. 월 강수 특성 분석 40
3. 강수에 따른 빗물이용시설 유출량 산정 42
Ⅵ. 빗물이용시설 적정 규모 산정 45
1. 의귀지역 빗물이용시설 규모 산정 45
2. 위미지역 빗물이용시설 규모 산정 48
3. 대용량 빗물이용시설 빗물 이용 가능량 검토 50
1) 의귀지역 빗물 이용 가능량 50
2) 위미지역 빗물 이용 가능량 52
4. 시설하우스 연계를 통한 빗물 활용 극대화 방안 54
Ⅶ. 결론 및 정책제언 56
1. 빗물이용시설 실태 조사 결과 56
2. 빗물이용시설의 빗물 이용량 평가 56
3. 빗물이용시설 적정 규모 산정 57
4. 빗물이용의 극대화 방안 57
참고문헌 59
Abstract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