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목적	2
3. 연구방법 및 범위	3
Ⅱ. 제주연안의 환경특성	4
1. 제주도 주변해역의 수괴와 지형특성	4
2. 제주도 주변 연안해역의 단기 수온․염분 특성	5
3. 제주도 주변 연안해역의 장기 평균 수온, 염분 분포 특성	8
4. 지구온난화 관련 제주해양환경 변화	12
Ⅲ. 제주도 기르는 어업 현황	14
1. 제주의 기르는 어업의 형태	14
1-1. 수산물 생산	14
1-2. 주요어업의 형태	15
1-3. 어업 형태별 수입 현황	15
1-4. 기르는 어업 형태	20
2. 산업규모 및 산업인력	22
3. 제주도 기르는 어업의 문제점	23
3-1. 수산업의 입지적 여건	23
3-2. 수산업의 문제점	23
4. 제주도 양식산업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25
Ⅳ. 친환경 양식산업 육성	27
1. 양식품종 다양화	27
1-1. 어류양식	27
1-2. 패류양식	29
2. 친환경 양식 기술	32
2-1. 국내 동향	32
2-2. 국외 동향	33
3. 육  종	34
3-1. 어류 육종 연구의 필요성	35
3-2. 국내․외 동향	36
Ⅴ. 폐사어 처리 시설의 현황 및 문제점	40
1. 폐사를 일으키는 원인 및 제어	41
1-1. 폐사원인	41
1-2. 폐사 발생의 제어	45
2. 폐사어 처리 현황 및 문제점	46
2-1. 폐사어 처리 현황	46
2-2. 현행 폐사어 처리의 문제점	52
Ⅵ. 친환경 양식산업 육성 방안	53
1. 정책제언	53
2. 어류양식 육성 방안	56
2-1. 육성방안	56
2-2. 중점추진사업	57
3. 패류양식 육성 방안	71
3-1. 추자도 연안의 홍합 (Mytilus coruscus) 양식	71
3-2. 패류종묘 배양장 활성화 및 활용에 관한 제언	76
3-3. 소형 복족류(보말) 인공종묘생산 활성화 방안	79
3-4. 제주 전복양식의 활성화 방안	80
4. 폐사어의 효율적 이용 방안	82
4-1. 폐사어의 성분	82
4-2. 폐사어 유래 세균의 열에 의한 사멸효과	82
4-3. 폐사어의 사료로서의 제조 공정	83
4-4. 폐사어 유래 발효어분의 사용 가능성 분석	85
Ⅶ. 결  론	88
◈ 참고문헌	92
◈ 부  록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