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Ⅰ. 서 언 1
Ⅱ. 수자원 환경 3
1. 자연환경 3
가. 지형 및 지질 3
나. 기상 4
2. 인문환경 9
가. 인구 및 관광객 9
나. 토지이용 11
Ⅲ. 수자원 부존 현황 20
1. 수문지질 20
2. 지하수 함양량과 적정 개발량 24
가. 지하수 함양량 산정 방법 24
나. 강수량 25
다. 지하수 함양량 27
라. 지하수 적정 개발량 27
3. 지하수 부존 및 산출특성 28
가. 기저지하수(Basal groundwater) 29
나. 준기저지하수(Parabasal groundwater) 30
다. 상위지하수(High level groundwater) 31
라. 기반암지하수(Basement groundwater) 31
4. 지하수 체류시간 33
5. 담․염수 경계면 분포 34
6. 물수지 분석 38
가. 강수량 38
나. 증발산량 38
다. 직접유출량 40
라. 유효 지하수 함양량 42
7. 용천수 45
가. 용천수 분포 45
나. 용출량 48
8. 지표수 48
9. 지하수 수질현황 52
가. 질산성질소 농도 분포현황 52
나. 염소이온 농도 분포현황 54
Ⅳ. 수자원 개발․이용 현황 58
1. 수자원 개발현황 58
가. 지하수 58
나. 용천수 63
다. 지하수 인공함양시설 64
2. 수자원 이용현황 66
가. 지하수 이용현황 66
나. 상수도 시설 및 이용현황 67
다. 주요 업종별 지하수 이용현황 69
라. 온천 개발 및 이용현황 71
마. 빗물 및 저수지 이용현황 73
Ⅴ. 제주도 용수 수요전망 79
1. 생활용수 79
가. 상수도 보급현황 79
나. 장래인구 추정 81
다. 생활용수 수요량 산정 83
라. 계획급수원단위 결정 86
마. 생활용수 수요량 추정 86
2. 관광용수 87
가. 관광인구 산정 87
나. 숙박시설 산정 88
다. 관광용수의 원단위 산정 90
라. 관광지, 유원지, 투자진흥지구 등 개발계획에 따른 용수 산정 91
3. 공업용수 92
가. 기존 공업용수 용수량 92
나. 공업용수량 산정 93
4. 기타 용수 94
Ⅵ. 제주도 수자원 공급계획 95
1. 상수도 용수 수요량 95
가. 생활용수 및 관광용수 95
나. 공업용수 98
다. 기타용수 98
2. 상수도 용수수급 전망 99
가. 용수수급 전망 제1안 99
나. 용수수급 전망 제2안 100
Ⅶ. 농축용수 수요전망 101
1. 농업 현황과 전망 101
가. 농가인구 및 농가호수 101
나. 경지면적 103
다. 재배작물 104
라. 가축사육 110
2. 농업용수 개발․이용현황 111
가. 농업용수 개발현황 111
나. 농업용수 이용량 분석 112
다. 농업용수 이용특성 114
3. 농업용수 수요량 124
가. 이론적 배경 124
나. 2030년 주요작물 재배면적 125
다. 2030년 농축산용수 수요량 산정 129
라. 농업용수 공급계획 138
Ⅷ. 수자원의 관리 계획 142
1. 외국의 수자원 관리 계획 142
가. 하와이의 수자원관리 계획 142
나. 캘리포니아의 수자원관리 계획 145
다. 일본 구마모토지역의 지하수 보전관리 계획 148
2. 제주도 수자원의 관리계획 152
가. 지속가능한 지하수 자원 확보 152
나. 대체수자원의 새로운 패러다임 153
다. 농업용수 개발·이용·관리방향 전환 155
Ⅸ. 요약 및 제언 157
◎ 참고문헌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