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제주감귤 가격변동성 분석

    연구책임 : 고봉현|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1-08-31 |조회수 : 5059

    목 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1. 연구 범위 2
    2. 연구 방법 3
    제3절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

    제2장 제주감귤의 주요 정책 및 수급동향 5
    제1절 제주감귤산업 발전을 위한 주요 정책 5
    1. 감귤진흥협의회 운영 5
    2.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제·개정 5
    3. 감귤원 폐원사업 8
    4. 감귤원 간벌사업 9
    5. 감귤휴식년제 9
    6. 감귤복합가공처리 공장건립·운영 10
    7. 감귤 생산 관측 조사 11
    8. 감귤정책 일대전환 전략 추진 12
    9. FTA 대응 감귤산업종합대책 수립 추진 12
    10. 감귤 안정생산 직불제 14

    제2절 제주감귤의 수급동향 분석 14
    1. 국제 수급 및 교역 여건 14
    2. 국내수급 16

    제3장 제주감귤의 유통구조 및 가격동향 분석 18
    제1절 유통구조 18
    1. 유통경로 18
    2. 유통실태 및 구조 18
    3. 유통비용 23
    제2절 가격동향 25
    1. 연도별 생산량 및 평균가격 동향 25
    2. 출하시기별·재배작형별 가격동향 28
    3. 유통단계별 가격동향 30

    제4장 제주감귤의 가격변동성 분석 34
    제1절 선행연구 검토 34
    1. 비선형동학적 특성(nonlinear dynamics) 관련 연구 34
    2. 가격변동성 요인 및 가격안정화효과 관련 연구 36
    3. 가격변동성의 이전효과 관련 연구 38
    제2절 제주감귤 가격의 시계열적 특성 39
    1. 시계열 자료의 개요 39
    2. 시계열 추이 및 기초 통계량 40
    3. 시계열의 안정성과 ARCH효과 43
    제3절 실증분석 46
    1. 가격변동성의 구조적 특성 분석 46
    2. 출하량이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48
    3. 감귤유통명령제의 가격안정화 효과 분석 54

    제5장 결 론 57

    참 고 문 헌 59
  • 제주특별자치도 연수원 유치에 따른 지역 경제 파급효과 분석

    연구책임 : 고태호|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1-06-30 |조회수 : 5252

    <목 차>

    I.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과정 및 방법 4

    II. 연수원 유치에 따른 효과의 항목화 7

    1. 연수원의 개념과 운영 방식 7
    2. 연수원 유치에 따른 효과의 항목화 12
    2.1. 편익 항목의 평가 14
    2.2. 비용 항목의 평가 18
    2.3. 종합 21

    III. 분석모형의 설정 25

    1. 건설 효과의 분석모형 설정 25
    2. 운영 효과의 분석모형 설정 27
    2.1. 교육서비스업 부문의 외생화 27
    2.2. 연수원 운영에 따른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모형 29
    3. 연수생 방문 효과의 분석모형 설정 30

    IV. 제주지역 연수원 유치에 따른 경제적 효과 분석 33

    1. 제주지역 연수원 유치 현황 33
    2. 분석자료의 수집 37
    2.1. 유치 연수원 대상 면담 조사 결과 37
    2.2. 연수생 참여 프로그램별 소비지출액 분석 51
    3. 사례분석 66
    3.1. 연수원 유형별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 67
    3.2. 제주지역 유치 연수원의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 90

    V. 제주지역 연수원 유치 관련 정책 제언 100

    1. 연수원 유치 정책의 방향 100
    2. 유치 연수원의 경제적 효과 극대화 방안 106

    【참고문헌】 110
    【부록】설문지 111
  • 세계자연유산을 연계한 농촌지역 발전 방안

    연구책임 : 강승진|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1-06-30 |조회수 : 5086

    목 차

    Ⅰ. 연구개요 ․․․․․․․․․․․․․․․․․․․․․․․․․․․․․․․․․․․․․․․․․․․․․․․․․․․․ 1
    1. 문제의 제기 ․․․․․․․․․․․․․․․․․․․․․․․․․․․․․․․․․․․․․․․․․․․․․․․․․ 1
    2. 연구목적 ․․․․․․․․․․․․․․․․․․․․․․․․․․․․․․․․․․․․․․․․․․․․․․․․․․․․ 2
    3. 연구내용 및 방법 ․․․․․․․․․․․․․․․․․․․․․․․․․․․․․․․․․․․․․․․․․․․․ 3

    Ⅱ. 디자인농업의 개요 ․․․․․․․․․․․․․․․․․․․․․․․․․․․․․․․․․․․․․․․․․․ 5
    1. 디자인농업의 개념 및 의의 ․․․․․․․․․․․․․․․․․․․․․․․․․․․․․․․․․․ 5
    2. 디자인농업의 현황 ․․․․․․․․․․․․․․․․․․․․․․․․․․․․․․․․․․․․․․․․․․ 15

    Ⅲ. 세계자연유산과 검은오름의 개요 ․․․․․․․․․․․․․․․․․․․․․․․․․․․ 26
    1. 세계자연유산의 의미와 현황 ․․․․․․․․․․․․․․․․․․․․․․․․․․․․․․․․ 26
    2. 세계자연유산 검은오름의 가치와 활용현황 ․․․․․․․․․․․․․․․․․․․ 51
    3. 검은오름이 위치한 선흘지역 현황 ․․․․․․․․․․․․․․․․․․․․․․․․․․․ 61

    Ⅳ. 사례조사 및 설문조사 ․․․․․․․․․․․․․․․․․․․․․․․․․․․․․․․․․․․․․ 69
    1. 사례조사 ․․․․․․․․․․․․․․․․․․․․․․․․․․․․․․․․․․․․․․․․․․․․․․․․․․․ 69
    2. 설문조사 ․․․․․․․․․․․․․․․․․․․․․․․․․․․․․․․․․․․․․․․․․․․․․․․․․․․ 84

    Ⅴ. 세계자연유산을 연계한 농촌발전전략 ․․․․․․․․․․․․․․․․․․․․․ 100
    1. Black-Color를 활용한 디자인농업 구상 ․․․․․․․․․․․․․․․․․․․․․․ 100
    2. BC(Black-Color)농업 육성 방안 ․․․․․․․․․․․․․․․․․․․․․․․․․․․․․․ 114
    3. 블랙컬러 자원의 6차산업화 방안 ․․․․․․․․․․․․․․․․․․․․․․․․․․․ 142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 159

    참고문헌 ․․․․․․․․․․․․․․․․․․․․․․․․․․․․․․․․․․․․․․․․․․․․․․․․․․․․․ 162

    부록 : 설문지 ․․․․․․․․․․․․․․․․․․․․․․․․․․․․․․․․․․․․․․․․․․․․․․․․․ 164

    영문초록 ․․․․․․․․․․․․․․․․․․․․․․․․․․․․․․․․․․․․․․․․․․․․․․․․․․․․․ 170
  • 호남-제주 해저고속철도가 제주지역에 미치는 영향분석 -도민의식 조사를 중심으로-

    연구책임 : 이성용|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1-06-30 |조회수 : 6427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1
    3. 주요 연구내용 2
    4. 정책적 시사점 및 활용효과 2

    Ⅱ. 해저터널 관련 계획 및 운영사례 검토 3
    1. 운영중인 해저터널 3
    1) 영·불 해저터널 3
    2) 일본 세이칸 해저터널 5
    3) 덴마크-스웨덴 외레순 다리 7
    4) 노르웨이 8
    2. 계획중인 해저터널 9
    1) 한중 해저터널 계획 9
    2) 한일해저터널 13
    3) 호남-제주 해저고속철도 17
    3. 시사점 22
    1) 운영중인 해저터널의 효과 22
    2) 국가 및 국내가 연결에 대한 시사점 23

    Ⅲ. 해저터널에 대한 도민의식조사 25
    1. 조사 개요 25
    2. 조사 내용 25
    3. 분석결과 25
    4. 교차분석 결과 50

    Ⅳ. 호남-제주간 해저고속철도의 파급효과 56
    1. 파급효과 전제 56
    2. 파급효과 분야별 검토 57
    1) 물류 57
    2) 환경 58
    3) 지역경제 59
    4) 산업별 파급효과 63
    3. 해저터널의 SWOT분석 79
    4. 네트워크형 국토공간구조의 주요지역으로 부상 80

    Ⅴ. 결 론 84

    □ 참고문헌 87
    □ 부록 설문지 88
    □ ABSTRACT 92

  • 제주 해양레저장비산업 육성 방안 -요트산업을 중심으로-

    연구책임 : 최영근|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1-06-30 |조회수 : 4731

    목 차

    제 1 장 연구의 개요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주요내용 및 범위 3
    제3절 연구방법 및 설계 4
    제4절 연구의 기대효과 5

    제 2 장 해양레저장비산업 현황 및 전망

    제1절 해양레저장비산업의 개념 9
    1) 해양레저장비산업의 개념 및 분류 9
    2) 요트산업의 개념 및 분류 11
    3) 해양레저장비산업의 육성 필요성 14
    제2절 해양레저장비산업의 일반 현황 18
    1) 국외 현황 18
    2) 국내 현황 24
    제3절 해양레저장비산업 제도 38
    1) 국외 제도 38
    2) 국내 제도 41
    제4절 제주 해양레저장비산업의 환경분석 및 전망 53
    1) 제주의 환경분석 53
    2) 미래 전망 59
    제5절 해양레저장비산업의 현황 및 환경분석 결과 시사점 61
    1) 분석결과 요약 61
    2) 시사점 65

    제 3 장 국내외 해양레저장비산업 육성 사례 분석

    제1절 해외사례 73
    제2절 국내사례 83
    제3절 사례 분석 결과 시사점 104

    제 4 장 국내 해양레저장비 업체 심층면접조사 분석

    제1절 조사개요 111
    제2절 심층면접조사 분석 결과 113
    제3절 심층면접조사 분석 결과 시사점 133

    제 5 장 제주 해양레저장비산업 육성 전략

    제1절 해양레저장비산업 육성 비전 139
    제2절 해양레저장비산업 육성 전략 141
    1) 인프라 전략 142
    2) 법․제도 전략 146
    3) 콘텐츠․프로그램 전략 148
    4) 홍보․마케팅 전략 150


    참고문헌 152
    부 록 157
    영문초록 181
  • 제주지역 프랜차이즈산업 육성방안

    연구책임 : 한승철|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1-06-30 |조회수 : 4559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연구 방법 4
    4. 연구 구성 4

    Ⅱ. 프랜차이즈 특성 및 성공요인 5
    1. 프랜차이즈의 개념과 특성 5
    1) 개념 5
    2) 유형과 분야 7
    3)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특징 9
    4) 프랜차이즈의 메가트랜드 12
    5) 프랜차이즈산업 육성 필요성 12
    2. 프랜차이즈 성공 요인 15
    1) 선행연구 검토 15
    2) 정책적 시사점 22
    3) 수퍼바이징 매뉴얼 24

    Ⅲ. 국내외 프랜차이즈산업 동향 및 사례 분석 26
    1. 프랜차이즈산업 동향 26
    1) 해외 프랜차이즈산업 동향 26
    2) 우리나라 프랜차이즈산업 동향 27
    3) 정부의 정책 28
    2. 지방자치단체의 프랜차이즈 정책 38
    3. 국내 대표적 프랜차이즈 기업 사례 41
    1) 대표적인 프랜차이즈 기업 41
    2) 온라인과 연계된 프랜차이즈 49
    4. 프랜차이즈산업 박람회 50

    Ⅵ. 제주지역 프랜차이즈산업 현황 및 품목 진단 56
    1. 제주특별자치도 프랜차이즈산업 현황 56
    2. 제주특별자치도 프랜차이즈산업 정책 방향 60
    3. 차별화가 가능한 제주프랜차이즈 품목 진단 65

    Ⅴ. 제주지역 프랜차이즈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 제언 77
    1. 제주특별자치도 프랜차이즈산업 육성 계획의 주안점 77
    2. 제주지역 프랜차이즈산업 육성의 핵심과 과제 78
    3. 프랜차이즈 시스템적 측면의 정책적 제언 79
    4. 행․재정적 측면의 정책적 제언 83

    Ⅵ. 요약 및 결론 85

    ◎ 참고문헌 88

    □ ABSTRACT 90
  • 제주여성사 Ⅱ(일제강점기)

    연구책임 : 문순덕|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1-06-30 |조회수 : 3573

    목 차

    발간사 _ 5

    일제강점기 제주사회, 제주여성의 눈으로 읽기 _ 양영오……… 4
    Ⅰ.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
    1. 여성의 의식 변화 _ 문혜경…………………………………………… 11
    2. 인구변동과 제주여성의 삶 _ 이창기 … ………………………… 33
    3. 근대법(민법)과 여성의 사회적 지위 _ 한삼인 ……………………61

    Ⅱ. 근대민족교육과 여성
    1. 신식 여성교육기관의 등장 _ 강만생 ……………………………… 89
    2. 야학과 개량서당 _ 양종렬 …………………………………………… 112
    3. 여성교육 확산과 유학생의 등장 _ 김창후 ……………………… 141

    Ⅲ. 항일과 자각
    1. 민족자각과 독립운동 _ 김동전……………………………………… 173
    2. 해녀항일운동 _ 장혜련………………………………………………… 183
    3. 강제동원과 공출 _ 김은희 …………………………………………… 206
    4. 항일 인물 _ 허영선……………………………………………………… 235

    Ⅳ. 출가해녀
    1. 국내 출가해녀 _ 이성훈… …………………………………………… 259
    2. 국외 출가해녀 _ 이지치 노리코(伊地知紀子)… …………………… 291
    차례 CONTENTS

    Ⅴ. 노동과 시장
    1. 농업과 여성노동 _ 진관훈 …………………………………………… 347
    2. 상공업과 교역활동 _ 진관훈 ………………………………………… 382
    3. 재일 방적 여공의 노동과 생활 _ 후지나가 다케시(藤永壯)……… 417
    4. 임노동자의 삶 _ 현혜경……………………………………………… 447

    Ⅵ. 신앙
    1. 무속신앙 _ 양영자 ……………………………………………………… 467
    2. 기독교 _ 조성윤………………………………………………………… 486
    3. 불교 _ 조성윤……………………………………………………………… 505
    4. 신종교 _ 조성윤………………………………………………………… 524

    Ⅶ. 풍속의 변화
    1. 통과의례 _ 문순덕 ……………………………………………………… 543
    2. 혼인문화 _ 권귀숙 ……………………………………………………… 563
    3. 의생활 _ 현진숙………………………………………………………… 594
    4. 식생활 _ 조미영………………………………………………………… 641
    5. 주생활 _ 강경희 ………………………………………………………… 671
    6. 범죄 유형과 통제 _ 강세현…………………………………………… 701

    찾아보기 ………………………………………………………………………… 719
  • 제주아이사랑플랜 2011~2012

    연구책임 : 정영태|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1-06-30 |조회수 : 3423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3. 연구 방법 및 절차 4
    4. 연구의 한계와 기대효과 6


    Ⅱ. 제주특별자치도 보육현황 7

    1. 제주특별자치도 인구 현황 7
    1) 인구 및 세대 현황 7
    2)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현황 10
    3) 보육 대상 아동 현황 12

    2. 제주특별자치도 보육 현황 15
    1) 어린이집 현황 15
    2)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현황 24
    3) 어린이집 아동 정원 및 현원 현황 25
    4) 어린이집 수급 계획 27
    5) 보육지원체계 현황 33

    3. 우리나라 보육정책 36
    1) 우리나라 보육정책 36
    2) 2011년 보육정책 41
    3) 제주특별자치도 보육정책과 과제 47
    4) 해외사례 49


    Ⅲ. 제주특별자치도 보육교직원 요구 조사 57

    1. 조사개요 57
    1) 조사 목적 57
    2) 조사 설계 57

    2. 어린이집 원장 부문 59
    1) 응답자 특성 59
    2) 겸임 여부 61
    3) 기관 개보수 62
    4) 어린이집 교사 수급 부분 62
    5) 차량 운행 여부 63
    6) 기관 이용 대기자 부분 64
    7) 보육프로그램 부분 64
    8) 복무규정 67
    9) 직장 내 성희롱 교육 69
    10) 교육 방향 69
    11) 학부모의 어린이집 선택 기준 70
    12) 희망하는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 71
    13) 기관 현황 71
    14) 보육 전반에 대한 만족도 72
    15) 보육정보센터 희망 프로그램 73
    16) 희망하는 보육 정책 74

    3. 어린이집 교사 부문 76
    1) 응답자 특성 76
    2) 보육 전담 연령 79
    3) 근로 환경 79
    4) 후생복지 83
    5) 인건비 85
    6) 근로여건 89
    7) 당면한 문제 90
    8) 현재 종사하는 기관 선택 이유 91
    9) 직업 만족도 91
    10) 어린이집 교사 처우 개선과 직무의 어려움 93
    11) 근무지 여건 95
    12) 보육전반에 대한 만족도 95
    13) 어린이집 교사 처우 개선과 보육 정책 97
    14) 보육정보센터 희망 프로그램 98
    15) 희망하는 보육정책 98

    4. 시사점 99
    1) 어린이집 원장 설문 결과 99
    2) 어린이집 교사 설문 결과 100

    Ⅳ. 제주아이사랑플랜 2011∼2012

    1. 비전과 정책 목표 101
    1) 비전 101
    2) 정책목표 102

    2. 정책과제 및 세부추진과제 103

    3. 세부추진과제별 세부사업 104

    4. 제주특별자치도 보육발전 계획의 정책과제 및 세부추진 과제 105
    1) 보육환경 질적 수준 제고 105
    2) 수요자 욕구에 맞는 보육서비스 제공 115
    3) 보육 종사자의 전문성 강화 및 처우 개선 125

    참고문헌 135

    부록 137
    부록1. 제주아이사랑플랜 추진 과제별 담당부서 137
    부록2. 제주아이사랑플랜 신규/계속 사업현황 138
    부록3. 어린이집 원장용 설문지 140
    부록4. 어린이집 교사용 설문지 145

    Abstract 150

  • 제주시 구도심 상권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엄상근|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1-06-30 |조회수 : 5574

    <목 차>

    제1장 연구의 개요
    1.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2

    제2장 이론적 고찰
    1. 도시중심지 4
    2. 도시재생 9
    3. 선행연구 검토 12

    제3장 제주시 도시중심지 현상 분석
    1. 도시중심지 형성과정 18
    2. 도시중심지 변화 분석 22
    3. 도시중심지 재생 방향 28

    제4장 제주시 구도심 상권 사례 연구
    1. 사례 대상지 선정 31
    2. 사례 대상지 분석 32
    1) 중앙로 상권 32
    2) 칠성로 상권 38
    3) 동문시장 상권 44
    4) 서문시상 상권 50
    제5장 제주시 구도심 상권 활성화 방안
    1. 상권별 특성화 방안 57
    1) 중앙로 상권 57
    2) 칠성로 상권 57
    3) 동문시장 상권 58
    4) 서문시장 상권 58
    2. 세부 방안 60
    1) 상권활성화 마스터플랜 수립 60
    2) 테마상가 개발기법 도입 61
    3) 도시관광과 연계한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62
    4) 노후 건축물 및 빈 점포의 활용 방안 64
    5) 주차시스템 도시재생기법 도입 65
    6) 상권활성화 조직체계 도입 방안 65


    참고문헌 67

  • 제주특별자치도 효율적 재정운용을 통한 재정건전화 방안

    연구책임 : 고철수|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1-06-30 |조회수 : 4238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연구 및 차별성 2
    3. 연구방법 및 주요 연구 내용 4

    Ⅱ. 제주특별자치도 재정 현황 5
    1. 재정 규모 5
    2. 세입 현황 7
    3. 세출 현황 20
    4. 지방채 현황 29

    Ⅲ. 제주특별자치도 분야별 재정특성 분석 33
    1. 재정분석지표 개요 33
    2. 제주 2009 회계연도 재정분석 결과 38
    3. 국내 재정건전화 우수 사례 42

    Ⅳ. 재정 건전화 방안 48
    1. 세입 측면 48
    2. 세출 측면 51
    3. 지방채 건전관리 강화 54
    4. 재정준칙제도 도입 검토 55

    Ⅴ. 결론 및 제언 57

    참고문헌 59
    영문초록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