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하천유출수 활용방안 마련을 위한 수문 및 수질특성 기초연구 - 한천․화북천․효례천을 중심으로 -

    연구책임 : 박원배|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0-11-30 |조회수 : 3628

    목 차

    제1장 서 언 ·····························································································1

    제2장 연구대상 하천의 유역현황 ·······················································3
    2-1. 형상 및 지형 ····································································································5
    2-2. 토지이용 ············································································································9
    2-3. 지질 ··················································································································10

    제3장 하천의 유출특성 ········································································13
    3-1. 강수량 ··············································································································13
    3-2. 유출발생 빈도 ································································································17
    3-3. 유출특성 ··········································································································21

    제4장 하천유출량 및 유출률 산정 ···················································28
    4-1. 수위-유출량 관계식 유도 ·············································································28
    4-2. 유출량 및 유출률 산정 ················································································30

    제5장 하천유출수의 수질특성 ···························································38

    제6장 하천유출수를 활용한 지하수 인공함양 ······························43
    6-1. 제주지역 지하수 인공함양정 설치 현황 ··················································45
    6-2. 제주지역 지하수 인공함양 연구 ································································46
    6-2-1. 비닐하우스 우수를 활용한 지하수 인공함양 기초연구 ··············· 47
    6-2-2. 한라산 고지대 하천유출수를 활용한 지하수 인공함양 시범연구 ····· 48
    가. 홍수저감 저류지 설치 ········································································48
    나. 지하수 인공함양 연구지역의 선정 ··················································52
    다. 지하수 인공함양 연구시설 설치 ······················································55
    라. 지하수 인공함양 연구지역의 지하지질 ··········································60
    마. 인공함양 가능량 ··················································································63
    바. 저류지 유입량 ······················································································67
    사. 저류지 유입수의 수질 ········································································70

    제7장 요약 및 제언 ··············································································75

    참고문헌 ···································································································82
  • 제주지역의 노인 취업구조와 고용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고승한|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0-11-30 |조회수 : 4365

    목 차

    제1장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연구의 주요내용 3
    4. 연구방법 4
    5. 연구의 기대효과 4

    제2장 고령사회의 노인고용 문제와 고용정책 5
    1. 고령화 시대의 노인고용 문제 5
    2. 우리나라 노인고용정책의 주요 변화 28
    3. 주요 선진국의 노인고용정책 48

    제3장 제주지역의 노인고용 현황과 개선점 65
    1. 제주지역 노인고용 현황 65
    2. 제주지역 노인고용의 주요 특성 81

    제4장 제주지역의 노인고용 실태조사 결과 및 해석 83
    1. 조사의 설계 83
    2. 일반노인 조사결과 분석 및 해석 83
    3. 일반 기업체 조사결과 분석 및 해석 110
    4. 일반 노인 및 기업체 조사결과의 시사점 130

    제5장 노인고용 활성화 정책 방안 136
    1. 노인일자리 사업 수행기관에 대한 지원체제 강화 136
    2. 노인고용촉진 및 운영 시스템 구축 138
    3. 노인인적자원 개발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 운영 체계화 139
    4. 맞춤형 노인고용지원 시스템 구축 140
    5. 노인고용촉진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체제 강화 141
    □ 참고문헌 142

    □ 부 록 1 (설문조사표) 146

    □ 부 록 2 (고령자고용촉진 관련 법률 내용) 166
  • 제주지역 녹색관광산업 인력양성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양성수|구분 : 인적자원

    발행일 : 2010-11-30 |조회수 : 2592

  • 제주지역 해수욕장 사계절 활용 방안 연구

    연구책임 : 강진영|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0-11-30 |조회수 : 4680

    목 차

    제1장 서 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2

    제2장 해수욕장 개념 및 관련법규 3
    1. 해수욕장 개념적 이해 3
    1) 해수욕장 기본개념 3
    2) 해수욕장 주요 도입시설 4
    3) 해안별 해수욕장 특징 5
    2. 해수욕장 관련 법규 6
    1) 연안관리법 6
    2) 공유수면 관리법 7
    3)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8

    제3장 제주지역 해수욕장 현황 및 문제점 11
    1. 제주지역 해수욕장 현황 11
    1) 일반적 현황 11
    2) 이용객 현황 12
    3) 해수욕장별 시설 현황 13
    4) 해수욕장 수질 현황 16
    2. 제주지역 해수욕장 문제점 26
    1) 편의시설 부족 27
    2) 축제 및 이벤트 부족 28
    3) 관광프로그램 부족 29
    4) 관광프로그램 부족 30

    제4장 국내 우수 사례연구 32
    1. 사례연구 32
    1)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 32
    2) 충남 대천 해수욕장 34
    3) 강원 경포해변 36
    4) 충남 무창포 해수욕장 37
    5) 부산광안리 해수욕장 39
    2. 국내사례 종합분석 41
    1) 시설부분 41
    2) 축제 및 이벤트 부분 42
    3) 관광프로그램 부분 43
    4) 홍보부분 44

    제5장 해수욕장 이용객 의견조사 45
    1. 설문개요 45
    1) 설문 주요내용 45
    2) 인구통계학적 특성 46
    2. 조사 분석 결과 48
    1) 해수욕장 명칭 변경 48
    2) 해수욕장 이용실태 49
    3) 항목별 만족수준 55
    4) 사계절 활용방안 57
    3. 설문조사 종합분석 61

    제6장 해수욕장 사계절 활용 정책 64
    1. 명칭 변경 효과 고양 64
    1) 명칭 변경에 대한 홍보방안 64
    2) 해수욕장과 기업체 연계방안 65
    2. 지역특성을 반영한 관광프로그램 개발 65
    1) 지역특성을 반영한 이벤트 개최 65
    2) 해양레포츠 아카데미 계획 66
    3) 어촌체험마을 프로그램과 연계 67
    3. 사계절 청정 환경보전 계획 68
    1) 해변유지관리 방안 68
    2) 수질 유지관리방안 69
    3) 해변자연경관 보전방안 70

    제7장 결 론 72

    부 록 77
  • 제주지역 컨벤션 개최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연구책임 : 신동일|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0-11-30 |조회수 : 6428



    목 차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방법 2
    4. 연구 구성 2

    Ⅱ. MICE산업의 동향 3
    1. MICE산업의 개념 3
    2. MICE산업의 특성 7
    3. MICE산업의 파급효과 8
    4. MICE산업의 현황 9

    Ⅲ. 제주지역 MICE산업 실태 20
    1. MICE산업 조직 및 시설 20
    2. MICE산업 지원제도 22
    3. MICE산업 관광자원 24
    4. MICE산업 실태 분석 29

    Ⅳ.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 31
    1. 파급경로 및 분석방법 31
    2.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 34
    3. 연구의 한계 35


    <참고문헌> 36
  • 친환경농업 발전을 위한제주형 로컬푸드시스템 도입방안

    연구책임 : 강승진|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0-11-30 |조회수 : 4211

    목 차

    Ⅰ. 서 론 ․․․․․․․․․․․․․․․․․․․․․․․․․․․․․․․․․․․․․․․․․․․․․․․․․․․․․․․․․․․․ 1
    1. 문제의 제기 ․․․․․․․․․․․․․․․․․․․․․․․․․․․․․․․․․․․․․․․․․․․․․․․․․․․․․ 1
    2. 연구목적 ․․․․․․․․․․․․․․․․․․․․․․․․․․․․․․․․․․․․․․․․․․․․․․․․․․․․․․․․․ 3
    3. 연구내용 및 방법 ․․․․․․․․․․․․․․․․․․․․․․․․․․․․․․․․․․․․․․․․․․․․․․․ 4

    Ⅱ. 글로벌푸드시스템 개요와 구조 ․․․․․․․․․․․․․․․․․․․․․․․․․․․․․․․ 5
    1. 푸드시스템의 개요 ․․․․․․․․․․․․․․․․․․․․․․․․․․․․․․․․․․․․․․․․․․․․․․ 5
    2. 글로벌푸드시스템의 구조 ․․․․․․․․․․․․․․․․․․․․․․․․․․․․․․․․․․․․․․ 21

    Ⅲ. 로컬푸드의 개요와 실태 ․․․․․․․․․․․․․․․․․․․․․․․․․․․․․․․․․․․․․․ 35
    1. 로컬푸드의 개요 ․․․․․․․․․․․․․․․․․․․․․․․․․․․․․․․․․․․․․․․․․․․․․․․ 35
    2. 로컬푸드의 현황과 실태 ․․․․․․․․․․․․․․․․․․․․․․․․․․․․․․․․․․․․․․․ 48

    Ⅳ. 국내·외 사례 및 실태조사 ․․․․․․․․․․․․․․․․․․․․․․․․․․․․․․․․․․․․ 61
    1. 로컬푸드 국내·외 사례 ․․․․․․․․․․․․․․․․․․․․․․․․․․․․․․․․․․․․․․․․․ 61
    2. 제주형 로컬푸드 도입을 위한 실태조사 ․․․․․․․․․․․․․․․․․․․․․․ 85

    Ⅴ. 친환경농업 발전을 위한 제주형 로컬푸드시스템 도입방안 ․․․ 115
    1. 제주형 로컬푸드시스템의 개요 ․․․․․․․․․․․․․․․․․․․․․․․․․․․․․․․ 115
    2. 친환경농업 로컬푸드시스템 구축방안 ․․․․․․․․․․․․․․․․․․․․․․ 124

    Ⅵ. 요약 및 정책제언 ․․․․․․․․․․․․․․․․․․․․․․․․․․․․․․․․․․․․․․․․․ 133

    참고문헌 ․․․․․․․․․․․․․․․․․․․․․․․․․․․․․․․․․․․․․․․․․․․․․․․․․․․․․․․․․․ 139

    부록 ․․․․․․․․․․․․․․․․․․․․․․․․․․․․․․․․․․․․․․․․․․․․․․․․․․․․․․․․․․․․․․ 141
  • 제주지역 사회통합의 위기 진단과 극복방안

    연구책임 : 고승한|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0-11-30 |조회수 : 4846

    목 차

    제1장 사회통합의 개념적 이해 1
    1. 사회통합의 개념 1
    2. 사회통합의 의의 3
    3. 선진국의 사회통합 정책 6
    4. 사회통합의 위기 발생 구조 12

    제2장 제주지역 사회통합 위기의 현황과 진단 21
    1. 사회통합 위기의 전개 21
    2. 사회통합 위기의 여건 23
    3. 사회통합 위기의 현황 28
    4. 사회통합 위기의 원인 30

    제3장 제주형 사회통합의 정책방향과 전략과제 36
    1. 사회통합의 기본방향 36
    2. 사회통합의 기본목표 38
    3. 사회통합의 기본원칙 38
    4. 사회통합의 전략과제 39

    제4장 제주형 사회통합 위기 극복을 위한 추진전략과 과제 43
    1. 정책으로서 사회통합 전략 43
    2. 협약으로서 사회통합 전략 45
    3. 시스템의 의한 사회통합 전략 46
    4. 문화로서의 사회통합 전략 48

    제5장 사회통합을 위한 갈등관리 시스템 구축 53
    1. 공공갈등관리 거버넌스의 구조 53
    2. 공공갈등관리 시스템의 기본방향 55
    3. 공공갈등관리 시스템의 효과적 구축 방안 57
    □ 참고문헌 70

    □ 부 록 1 (참여적 갈등예방기법) 71
    □ 부 록 2 (협상 프로세스 세부내용) 78
    □ 부 록 3 (공공기관의 갈등예방과 해결에 관한 규정) 85
    □ 부 록 4 (제주특별자치도 사회협약위원회 조례) 96
  •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 성과분석 연구

    연구책임 : 정승훈|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0-11-30 |조회수 : 4556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한계 3
    3. 연구 구성 4

    Ⅱ. 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개요 5
    1. 제1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5
    2.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보완계획 8

    Ⅲ. 계획지표 및 예산분석 11
    1. 계획지표 분석 11
    2. 2002-2009년 투자계획 대비 실적분석 21
    3. 연도별 투자계획 대비 실적분석 25
    4. 핵심ㆍ전략프로젝트 투자실적 39
    5. 관광지 개발사업 투자실적 40
    6. 외국인 투자유치 실적 46

    Ⅳ. 국제자유도시 시책분석 48
    1. 분석개요 48
    2. 국제자유도시 시책사업 분석 49

    Ⅴ. 4+1 핵심산업 성과분석 88
    1. 분석방향 88
    2. 산업별 분석 89

    Ⅵ. 종합검토 및 정책제언 157
    1. 종합계획 내용 157
    2. 정책 제언 161

    참고문헌 164
  • 자원봉사활동의 경제적 가치와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정영태|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0-11-30 |조회수 : 3184

    목 차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3. 연구의 기대효과 4
    4. 연구의 한계 4

    II. 이론적 배경

    1. 자원봉사의 정의 5
    1) 전통적인 자원봉사 5
    2) 현대적인 의미의 자원봉사 7
    3) 자원봉사의 정의 8
    2. 자원봉사의 이념과 기본가치 11
    1) 자원봉사의 이념 11
    2) 자원봉사의 가치 14
    3) 자원봉사의 필요성 17
    3. 자원봉사의 특성 18
    1) 자발성 18
    2) 무급성 18
    3) 개척성 19
    4) 협동성 19
    5) 생활성 19
    6) 전문성 20
    7) 계획성 20
    8) 지속성 20
    9) 연계성 20
    10) 이타성 21
    4. 자원봉사와 보상 21
    1) 레츠 22
    2) 아워즈 23
    5. 자원봉사 연구 동향 24
    1) 참여대상과 자원봉사 활동 24
    2) 자원봉사자에 대한 연구 25
    3) 자원봉사 활용 기관 25
    4) 자원봉사 가치 제고 25

    III. 자원봉사활동 현황

    1. 자원봉사활동 개요 27
    2. 자원봉사센터 현황 28
    1) 자원봉사센터 운영개요 28
    2) 자원봉사센터 근무 입력 현황 30
    3) 자원봉사센터 예산과 집행 33
    4) 자원봉사 등록 현황 34
    5)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 37
    6) 자원봉사활동 분야 38
    7) 자원봉사자 교육 38
    3. 제주특별자치도 자원봉사 현황 39
    1) 자원봉사센터 현황 39
    2) 자원봉사센터 근무 여건 42
    3) 자원봉사센터 예산 및 집행 44
    4) 자원봉사자 등록 현황 46
    5) 자원봉사자 활동 실적 51
    6) 자원봉사자 교육과 보험 54
    7) 거점현황 56
    Ⅳ. 자원봉사활동과 경제적 가치

    1.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사회경제적 가치 58
    1) 사회적가치 58
    2) 자원봉사 경제가치 선행 연구 58
    3) 자원봉사 사회자본 추계 방법 62
    2. 제주특별자치도 자원봉사 활동의 경제적 가치 측정 63
    1) 자원봉사활동의 가치 측정 모델 63
    2) 제주특별자치도 자원봉사 가치 측정 방법 65
    3) 제주특별자치도 자원봉사 경제가치 추계 결과 66

    Ⅴ. 결론 및 제언

    1. 제주특별자치도 자원봉사활동의 경제가치 측정 결과 69
    2. 제주특별자치도 자원봉사활동 확대를 위한 제언 71

    참고문헌 78
    부록1. 자원봉사활동지원법 81
    부록2. 제주특별자치도 자원봉사활동 지원조례 87
  • 제주지역의 녹색관광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 정승훈|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0-11-30 |조회수 : 4772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한계 3
    3. 연구 구성 3

    Ⅱ. 녹색관광 이론연구 4
    1. 기후변화와 관광산업 4
    2. 녹색관광의 개념 및 의의 5

    Ⅲ. 녹색관광 정책 현황분석 9
    1. 중앙정부의 녹색관광 계획 9
    2. 중앙정부의 녹색관광자원 개발현황 15
    3. 국ㆍ외지역의 녹색관광 육성사례 26

    Ⅳ. 제주지역 녹색관광 육성현황 32
    1. 녹색관광 육성정책 32
    2. 녹색관광 자원현황 36
    3. 시사점 54
    Ⅴ. 실증분석 55
    1. 조사개요 55
    2. 분석결과 56
    3. 시사점 70

    Ⅵ. 녹색관광 활성화방안 71
    1. 녹색관광 육성을 위한 과제 71
    2. 활성화방안 73

    Ⅶ. 결론 92

    참고문헌 94

    설문조사서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