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4
2. 연구의 방법 5
3. 선행연구 현황 및 차별성 5
3-1 주요 선행연구 5
3-1-1 최근 (2010~2012년) 제주지역 대기환경 변화에 관한 기상 특성 분석(2014) / 5
3-1-2 제주도 기온 및 강수의 변동과 변화의 관측 (2005) / 6
3-1-3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 7
Ⅱ. 제주도의 기후변화 현황 분석 8
1. 제주도 사회의 변화 8
2. 제주도의 기온 변화 9
2-1 연평균기온 변화 9
2-2 계절별 기온 변화 11
3. 제주도의 강수 변화 13
3-1 연 강수 변화 13
3-2 계절별 강수 변화 15
3-3 여름 장마 변화 16
3-4 제주도의 현상일수 변화 18
3-4-1 기온 극한 현상일수 / 18
Ⅲ. 제주도의 고해상도 기상 및 환경 복합데이터 생산 20
1. 제주도 주요 관광지의 고해상도 기상 및 환경 복합데이터 생산 개요 20
Ⅳ. 관측망에서 벗어난 측정 음영지역의 공간 예측 데이터 생산 22
1. IoT 측정 데이터 전처리 기술 22
2. 측정 음영지역 데이터 생산 방안 23
Ⅴ. 다양한 공기질 데이터와 기상 실황 데이터의 패턴을 인지·분석을 통한 예측 방안 연구 27
1. 예측 모형의 사용 변수 정의 27
2. AI기반 고해상도 날씨/미세먼지 예측 모형 연구개요 28
2-1 연구개요 28
2-2 본 연구의 혁신성 29
2-3 데이터 수집 29
2-4 데이터 전처리 30
2-5 모형 선택 및 hyper parameter tuning 33
2-6 모델 적합 과정 38
2-7 모형 pergormance 비교 평가 39
2-8 관측지점 개수에 따른 모델 성능 차이 분석 40
2-9 국가관측망을 이용한 Surface 보정 과정 41
2-10 예측치 시각화 샘플 41
2-11 예측치 시각화 샘플 42
Ⅵ. 제언 44
1.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 및 활용 효과 44
2. 결과 및 향후 연구 계획 44
참고문헌 46
Abstract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