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제1장 연구의 개요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방법 및 주요내용 5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기대효과 7
제2장 협동조합에 대한 이론적 고찰 9
제1절 협동조합 11
1. 협동조합의 개념 11
2. 협동조합의 특징과 역할 12
3. 협동조합의 원리 및 유형 16
제2절 협동조합기본법 23
1. 협동조합기본법 제정 배경 23
2. 협동조합기본법의 주요내용 25
3. 협동조합기본법 시행으로 인한 기대효과 35
제3장 협동조합 현황 41
제1절 우리나라 협동조합 현황 43
1. 우리나라 협동조합의 역사 43
2. 제주도내 협동조합 관련 단체 현황 45
3. 기존 협동조합 현황 49
제2절 신규 협동조합 현황 56
1. 국내 신규 협동조합 설립 동향 56
2. 일반협동조합 설립신고 및 수리 현황 59
3. 사회적협동조합 인가신청 및 인가 현황 61
4. 일반협동조합연합회 설립신고 및 수리 현황 62
제4장 사례연구 65
제1절 국내사례 67
제2절 해외사례 82
제3절 정책적 시사점 91
1. 유럽 협동조합의 성공 요인 91
2. 정책적 시사점 91
제5장 제주형 협동조합 모델 구축 95
제1절 제주의 필요와 기반 진단 97
1. 제주지역 협동조합 생태계 현황 97
2. 제주지역 협동조합 생태계 자원 분석 98
3. 협동조합 생태계 조성을 위한 과제 98
제2절 모델 개발의 관점 및 유형 101
1. 기본 관점 101
2. 모델 구상시 고려할 점 102
3. 제주형 모델의 특성 및 유형 103
제6장 협동조합 활성화 방안 113
제1절 목표 및 계획 115
1. 협동조합 정책 목표 및 기본방향 116
2. 추진전략 117
제2절 활성화 방안 121
1. 협동조합 주체별 지원정책 121
2. 단계별 활성화 방안(추진과제) 123
참고문헌 146
ABSTRACT 148
부록(협동조합기본법 등)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