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제주지역 의료관광산업 육성방안 연구

    연구책임 : 조부연|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6-11-30 |조회수 : 3099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내용 4
    3. 연구방법 5
    4. 연구의 기대효과 6

    Ⅱ. 목적형 관광으로서의 의료관광 10
    1. 의료관광의 개념 10
    2. 의료관광의 유형 11
    3. 의료관광의 특성 14
    4. 제주형 의료관광 15

    Ⅲ. 정주형 의료관광지 관점 제주의 경쟁력 23
    1. 제주 의료서비스 현황 23
    2. 정주형 지향 제주 인프라 33
    3. 제주 의료관광의 강점과 약점 42

    Ⅳ. 시장분석 45
    1. 의료관광 공급 및 가망 시장의 조망 45
    2. 의료관광 잠재 송출지역 현장조사 49
    3. 제주 의료관광의 기회와 위협 53

    Ⅴ. 단계적 발전전략 58
    1. SWOT 분석 58
    2. 제주 의료관광 SWOT 기반 발전전략 60
    3. 단계적 발전전략 64

    Ⅵ. 결론 및 제언 68
    1.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68
    2. 제주 의료관광 발전을 위한 제언 69

    참고문헌 72

    ABSTRACT 73

  • 한천저류지 인공함양시설에 대한 운영 개선방안

    연구책임 : 박원배|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6-11-30 |조회수 : 1612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방법 3

    Ⅱ. 국내․외 함양관리 기술개발 현황 4
    1. 대수층 함양관리 기술의 정의 4
    2. 대수층 함양관리 기술의 국내․외 현황 4

    Ⅲ. 한천유역의 하천 유출 특성 11
    1. 한천유역 현황 11
    2. 강수 특성 13
    3. 유출발생 빈도 분석 15

    Ⅳ. 한천저류지 인공함양시설 운영 현황 20
    1. 인공함양시설의 현황 20
    2. 인공함양시설의 운영 실태 25
    3. 인공함양시설의 문제점 41

    Ⅴ. 인공함양시설의 운영 개선 방안 48
    1. 인공함양시설 개선 방안의 검토 48
    2. 인공함양시설 운영 개선 방안 49

    Ⅵ. 결론 및 정책제언 58
    1. 결론 58
    2. 정책제언 59


    참고문헌 62

    ABSTRACT 63
  •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가입 추진에 따른 제주의 대응방안

    연구책임 : 고봉현|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6-11-30 |조회수 : 2217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주요내용 2
    3. 연구방법 2

    II. TPP 협상의 추진배경과 주요내용 3
    1. TPP 추진배경과 최근 동향 3
    2. 협정문 구성 5
    3. TPP 협상타결의 주요내용 7

    III. 일본 TPP 타결내용 분석 12
    1. 일본의 농·축·수산물 TPP 타결내용 총괄 12
    2. 농·축·수산물 세부 품목별 타결내용 분석 14

    IV. 우리나라 기체결 FTA 분석 31
    1. 우리나라 기체결 FTA 총괄 31
    2. 우리나라의 농·축·수산분야 기체결 FTA 분석 33

    V. 제주의 시사점 및 대응방안 70
    1. 美 대선 이후 TPP 전망 70
    2. TPP 가입 추진에 따른 제주의 시사점 72
    3. 향후 대응방안 77

    Ⅵ. 요약 및 결론 79

    참 고 문 헌 86
  • 제주지역의 문화복지정책 실태와 발전 방안

    연구책임 : 문순덕|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6-11-15 |조회수 : 2119

    목 차


    Ⅰ. 연구 개요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범위 3

    Ⅱ. 문화복지의 의미 및 정책 동향 5
    1. 문화복지의 의미 5
    2.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복지정책 동향 15
    3. 문화복지정책 검토의 시사점 41

    Ⅲ. 제주지역의 문화복지정책 추진 실태 44
    1. 제주지역의 문화복지정책 여건 분석 44
    2. 제주지역의 문화복지정책 추진 현황 70
    3. 제주지역의 문화복지정책 분석 결과 88

    Ⅳ. 제주지역의 문화복지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90
    1. 조사 개요 90
    2. 조사 결과 92
    3. 시사점 135

    Ⅴ. 제주지역 문화복지정책의 발전 방안 139
    1. 기본 방향 139
    2. 정책 제언 140


    참고문헌 149

    ABSTRACT 152

    <부록> 설문지 154
  • 제주지역 분기별 거시계량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 : 고봉현|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6-11-15 |조회수 : 1669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II. 제주 지역내총생산(GRDP)의 분기화 4
    1. 선행연구 및 분기화 방법론 검토 4
    2. 제주지역 분기별 GRDP 추정 6

    III. 제주지역 분기별 거시계량모형 개발 15
    1. 분기모형의 개요 15
    2. 모형설정 및 추정결과 18

    IV. 모형의 평가 및 정책모의실험 27
    1. 모형의 평가 개요 27
    2. 모형의 예측력 평가 28
    3. 정책모의실험 36

    V. 요약 및 결론 43
    1. 연구의 요약 43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45

    참 고 문 헌 46

    Abstract 47

  • 제주지역의 청년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 고승한|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6-11-15 |조회수 : 2725

    목 차


    Ⅰ. 연구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5
    3. 연구의 주요 내용 5
    4. 연구의 기대효과 6
    5. 연구의 한계점 6

    Ⅱ. 청년창업의 특성과 관련 정책 사례 8
    1. 청년문제와 일자리 8
    2. 청년창업의 특성과 청년창업에 대한 인식 10
    3. 정부의 청년창업 지원정책과 시사점 20
    4. 외국의 청년창업 지원정책과 시사점 30

    Ⅲ. 제주지역 청년창업의 현황 및 문제점 38
    1. 청년층 고용 현황 38
    2. 제주지역 청년창업 현황 41
    3. 제주지역 청년창업 지원정책 현황 43
    4. 제주지역 청년창업의 문제점 50

    Ⅳ. 제주지역의 청년창업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및 분석 53
    1. 조사설계 53
    2. 제주지역 청년층 대상 실태조사 결과 및 해석 53
    3. 제주지역 청년창업기업 대상 실태조사 결과 및 해석 76
    4. 제주지역 청년창업 실태조사 결과의 시사점 93
    Ⅴ. 제주지역의 청년창업 활성화 방안 113
    1. 정책방향 114
    2. 추진전략 115
    3. 향후 청년창업 활성화 대응과제 117
    4. 향후 청년창업 활성화 정책방향, 전략과 과제 도식화 133
    5. 주체별․시기별 추진 로드맵 134

    Ⅵ. 결론 및 제언 136

    □ 참고문헌 140

    □ 부록 1 중앙정부의 청년창업 정책 현황 142

    □ 부록 2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청년창업 정책 현황 146

    □ 부록 3 서울특별시 청년허브센터의 주요사업 155

    □ 부록 4 청년대상 설문지 157

    □ 부록 5 청년창업기업 대상 설문지 168

    □ 영문초록(Abstract) 177
  • 제주특별자치도 기상산업 육성 및 발전방안 연구

    연구책임 : 김태윤|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6-11-15 |조회수 : 1581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주요 연구 내용 3

    Ⅱ. 기상산업의 특성 및 관련법․정책 검토 4
    1. 기상산업의 특성 4
    2. 관련법 검토 11
    3. 관련 계획 및 정책 검토 18

    Ⅲ. 국내․외 기상산업 현황 및 활용 사례 25
    1. 국내 기상산업 현황 25
    2. 국외 기상산업 동향 33
    3. 기상산업 활용사례 38
    4. 기상산업의 한계와 성장 잠재력 56
    5. 시사점 59

    Ⅳ. 기상산업 관련 도민 인식조사 및 시사점 61
    1. 조사 개요 61
    2. 인구 통계적 특성 61
    3. 조사결과 분석 63
    4. 시사점 85

    Ⅴ. 제주지역 기상산업 육성 및 발전 방안 88
    1. 기상전문기관 중심의 기상산업 기술 및 서비스 개발 88
    2. 기상 관련 유관기관간 협업시스템 구축․운영 90
    3. 기상정보를 활용한 맞춤형 기상산업 지원체계 구축 92
    4. (가칭)제주기상산업 R&D 센터 설치 93
    5. 국가 기상산업 육성을 위한 시범지역 지정 96
    6. 기상산업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기상전문대학원 설치 98

    Ⅵ. 연구결과 요약 및 정책 제언 100
    1. 연구결과 함의 100
    2. 정책 제언 102

    참고문헌 109

    ABSTRACT 110

    부록 112
  • 제주지역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 신동일|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6-11-15 |조회수 : 3347

    목 차

    Ⅰ. 연구 개요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방법 2
    4. 연구 내용 및 개념 3

    Ⅱ. 음식관광에 관한 이론적 고찰 4
    1. 음식관광의 개념 4
    2. 음식관광의 매력과 역할 9
    3. 음식관광을 통한 지역 활성화 효과 10

    Ⅲ. 음식관광 동향 및 사례 13
    1. 국외 음식관광의 동향 13
    2. 국내 음식관광의 동향 17

    Ⅳ. 제주지역 음식관광 현황 및 문제점 22
    1. 제주지역 음식관광 현황 22
    2. 전문가포럼 및 경쟁지역 조사 34
    3. 문제점 44

    Ⅴ.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 46
    1. 정책 방향 46
    2. 정책 과제 48

    참고문헌 63

    Abstract 65
  • 스포츠대회와 전지훈련의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

    연구책임 : 최영근|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6-11-15 |조회수 : 2078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방법 및 주요내용 5

    Ⅱ. 체육시설 현황 9
    1. 전국현황 11
    2. 제주지역 현황 18

    Ⅲ. 의견조사 31
    1. 조사설계 33
    2. 조사결과 35
    3. 시사점 84

    Ⅳ. 스포츠대회와 전지훈련의 지역경제파급효과분석 87
    1. 분석방법 및 과정 89
    2. 소비지출 규모 분석 92
    3. 지역경제파급효과분석 95
    1) 스포츠대회 개최에 따른 지역경제파급효과분석 결과 95
    2) 전지훈련 팀 유치에 따른 지역경제파급효과분석 결과 100

    Ⅴ. 결 론 105

    참고문헌 109
    ABSTRACT 110
    부 록(설문지, 산업별 지역경제파급효과분석표) 113
  • 제주 중소기업 제품의 지산지소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책임 : 한승철|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6-11-15 |조회수 : 1709

    목 차


    I.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3
    4. 기대효과 4

    II. 제주지역 중소제조업 현황 및 특성 6
    1. 제주지역 제조업 현황 6
    2. 제주지역 제조업 특성 10
    3. 제주지역 제조업 SWOT 및 육성 전략 16

    Ⅲ. 지산지소시스템과 제주 중소기업 제품 유통판매 실태 21
    1. 지산지소시스템 21
    2. 제주지역 중소기업 제품 판매 실태 25

    Ⅳ. 제품 생산 및 유통판매 실태 인식 조사 38
    1. 조사 개요 38
    2. 조사결과 40
    3. 조사결과 요약 및 시사점 56

    Ⅴ. 지역 내 판매 및 특산품 공동판매장 사례 조사 58
    1. 국외사례 58
    2. 국내사례 59
    3. 국내외사례에서의 시사점 67

    Ⅵ. 제주지역 지산지소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책 방안 68
    1. 지산지소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책적 방향 68
    2. 정책적 제언 73

    참고문헌 81

    부록 82

    ABSTRACT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