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발전연구원 | 보 도 자 료 | 담당 | 연구기획팀 | 
| 726-6213 | |||
| 2011년 3월 10일(목요일) | 문의 | 신동일 연구위원 | |
| 010-6262-4604 | 
| 제주지역 MICE산업 경제파급효과는 3,557억원 분석결과, 골프관광에 이은 제2의 신성장 관광분야로 | 
□ 제주발전연구원(원장 양영오) 신동일 연구위원은 제주특별자치도가 최근 1년간 개최한 “MICE산업의 지역경제파급효과 연구”를 통해 3,557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1,847억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결과를 도출함.
- 연구목적 : 21세기 관광산업의 핵심 분야이자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의 MICE 산업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과연 MICE 산업이 제주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얼마나 되는 가를 객관적으로 분석
□ 최근 1년간 제주지역에서 개최된 MICE 개최실적 조사결과를 보면 컨벤션 부문이 128건에 총 57,827명의 참가하였고, 인센티브 부문에는 151건에 14,828명이 참가 한 것으로 나타났음
<표> 제주지역 MICE 유치실적
| 년도 | 구분 | 건수 | 전체 참가자(명) | 내외국인별(명) | |
| 2009.6 - 2010.4 | 전체 | 279 | 72,665 | 내국인 | 53,143 (73%) | 
| 외국인 | 19,512 (27%) | ||||
| 컨벤션 | 128 | 57,827 | 내국인 | 41,506 (71.8%) | |
| 외국인 | 16,321 (28.2%) | ||||
| 인센티브 | 151 | 14,828 | 내국인 | 11,637 (78.5%) | |
| 외국인 | 3,191 (21.5%) | ||||
자료 : 제주관광공사, MICE 현황보고서, 2010
□ 제주지역 MICE 산업이 제주지역 경제에 미치는 효과분석은 참가자 및 관련 인사들의 대회 전․후 소비지출 및 관련 투자지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생산 및, 부가가치유발 효과로 구분하여 이뤄졌음.
	◦ 대회 참가자들의 소비지출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ICCA(국제컨벤션협회)의 발표 자료를 근거로 분석에 활용하였음
	 
| 구분 | ICCA 발표자료 | 
| MICE 참가자 1인당 평균 지출경비 | 2,487$(2,785,440원) (2010년 10월 20일 현재환율 1,120적용) | 
□ 최종적으로 제주지역 MICE 개최에 따른 지역경제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최근 약 1년 여간 제주에서 개최된 MICE산업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는 3,557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847억원 등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골프관광 보다는 다소 낮은 수준이지만 스포츠이벤트(대회 등)를 능가하는 신성장 관광분야인 것으로 분석되었음.
<표> 제주지역 MICE산업의 지역경제파급효과
| 구 분 | 생산유발효과(백만원) | 부가가치유발효과(백만원) | 
| 컨벤션 | 283,166 | 147,059 | 
| 인센티브 | 72,608 | 37,708 | 
| MICE 합계 | 355,774 | 184,767 | 
<표> 제주지역 주요 분야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비교
| 구분 | MICE산업 | 스포츠이벤트 | 골프관광 | 
| 생산유발효과 | 3,557억원 | 2,437억원 | 4,826억원 | 
| 부가가치 유발효과 | 1,847억원 | 1,274억원 | 2,481억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