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 읍면지역과 구도심 동지역 인구감소위험 크게 나타나.

    2024-02-06 09:37:05
  • 작성자관리자 (manager) 조회수305

  • 더 나은·더 행복한 제주』를 위한 실용적 정책연구기관​​

     null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

    제주연구원

    원장 양덕순

     보 도 자 료

     배 포 일

    2024. 2. 6(화요일)

     

    담당부서

     

    연구기획부

     064-729-0540

     

    문 의

     

    지역균형발전지원센터

     064-729-0617


    읍면지역과 구도심 동지역 인구감소위험 크게 나타나...

    - 제주지역균형발전지원센터 제주지역 읍면동별 인구감소위험 분석발표 -

      

    제주연구원(원장 양덕순)JRI 정책이슈브리프 2022년도 제주지역 읍면동별 인구감소위험 수준 분석에서 제주지역 43개 읍면동 지역의 인구감소위험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인구증가율, 연령별 인구 비율 등 인구감소 현상을 보여줄 수 있는 지표를 토대로 읍면동 지역 간 비교를 통해 상대적 인구감소위험의 수준을 분석하며, 최소 0에서 최대 1까지 값으로 표현되어 지수값이 0.5 이상인 경우 인구감소위험 지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분석 결과, 제주지역 내 읍면동 지역 중 인구감소위험지역에 해당하는 지역은 읍면지역과 구도심 동지역을 포함한 23개 지역으로 나타났다.

    - 읍면지역 중에서는 애월읍과 조천읍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인구감소위험지역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추자면과 우도면, 구좌읍, 남원읍, 한경면이 감소고위험지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동지역 중에서는 서귀포시 구도심지역(송산동, 정방동, 천지동 등)과 제주시 구도심지역(용담1, 건입동, 용담2, 삼도2, 삼도1동 등)의 인구감소위험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분

    해당 지역

    감소

    위험

    지역

    감소고위험

    추자면, 송산동, 우도면, 정방동, 일도1, 중앙동, 천지동, 구좌읍, 영천동, 남원읍, 예래동, 성산읍, 용담1, 한경면

    감소위험

    진입

    표선면, 건입동, 효돈동, 용담2, 한림읍, 삼도2, 삼도1, 대정읍, 안덕면

    감소위험 주의

    이도1, 이호동, 조천읍

    감소위험 낮음

    일도2, 도두동, 애월읍, 대천동, 중문동, 화북동, 동홍동, 서홍동, 봉개동, 연동, 대륜동, 외도동, 노형동, 이도2, 삼양동, 오라동, 아라동

    : 인구감소지수가 높게 나타난 지역 순으로 표기


     null_check_check_check

     

    김세일 전문연구원(제주지역균형발전지원센터)제주지역은 지역적 특성에 따라 인구 현상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균형발전 차원에서 인구 현상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히며,


    이번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인구감소 위험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읍면지역과 구도심 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제주형 인구감소지수 분석 결과는 향후 지역 균형발전 관련 정책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예정으로,

    - 제주특별자치도는 읍면 및 구도심 등 인구감소지역의 생활서비스 이용 여건 개선을 위한 지역균형발전사업 공모 시, 인구감소위험 수준에 따른 가점 부여 등을 통해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지원을 우선할 계획이다.


    연구원은 제주형 인구감소지수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지역의 인구 관련 현안을 살펴보기 위한 통계로서 매년 정기적으로 지수를 분석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