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현황

연구현황
  • 세대 변화에 대응한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 인사관리 방안 연구
  • 유형: 미래과제 | 연구책임: 강창민

    연구기간 : 2023-01-01 ~ 2023-12-31

  • ○ 연구의 목적은 공직 내 새로운 세대의 가치 변화와 인력관리의 유연성과 탄력성이 증가되는 환경변화에 부응하는 구체적 인사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것임
    - MZ세대로 대표되는 신세대들의 공직사회에 대한 가치관을 탐색하여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 인사관리 실태를 전반적으로 분석하여 현실성 있는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도출
    ○ 특히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을 대상으로 세대간 인식격차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한 인사관리 방안을 제시하며, 유연근무제의 확대, 육아휴직 증가로 인한 효율적 인력관리 방안도 함께 모색하고자 함
    - 육아휴직 등의 급증으로 인해 대체인력 고용 등의 수시채용이 늘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인력체계의 변동성에 대응하는 효과적 정책방안을 제시
  • ○ 신세대 공무원의 가치지향성과 인사관리 영향 요인 탐구
    ○ 세대간 인사관리 주요 쟁점에 대한 탐구
    -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을 대상으로 직무 및 직급체계, 채용, 승진, 보직관리 등 주요 인사관리 쟁점에 대해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식조사 설문을 구성
    ○ 제주특별자치도 인사관리 실태조사
    -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을 대상으로 공직에 대한 가치 및 동기, 직급체계, 채용방식, 승진제도, 성과평가, 보직관리 및 인사교류, 퇴직관리 등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
    - 유연근무제도, 육아휴직 등에 대한 실태 및 이에 따른 인력조정 제도 분석
    ○ 제주특별자치도 탄력적 인사관리 체계에 대한 외국사례 분석
    - 단기적 처방뿐만 아니라 중장기적 관점에서 휴직, 근무형태 등에 대한 효과적 대안 마련을 위해 주요 선진국 및 외국(중앙 및 지방정부) 사례 분석
    ○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을 대상으로 직무 및 직급체계, 채용, 승진, 보직관리 등 주요 인사관리 쟁점에 대해 심층면접 및 법적 검토(자문)를 통해 개선방안 도출
    - 제주특별법을 통한 인사관리의 특례 및 시범적 인사제도를 시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검토
    ○ 세대변화에 부응한 제주특별자치도 인사관리 방향과 대안 제시
    - 새로운 환경에 부응하는 제주특별자치도 인사관리 방향과 전략 도출
    - 직급체계, 채용, 승진, 보직관리 및 인사교류, 퇴지 등 주요 인사관리 쟁점에 대한 세대변화 대응 인사관리 방안 제시
    - 탄력적 인사제도로 인한 인력조정 및 활용방안 모색